주식 시장을 보다 보면 가끔 이런 뉴스가 나온다.
📉 "금리 인상으로 국채 가격 급락"
📈 "금리 동결 기대에 국채 ETF 상승"
이런 기사들을 볼 때마다 궁금해진다.
"도대체 국채 가격이 왜 이렇게 오르락내리락하는 걸까?"
"국채에 투자하는 ETF는 뭐가 다르고, 어떻게 돈이 되는 거지?"
오늘은 미국 국채 가격이 오르는 원리부터 대표적인 국채 ETF, 그리고 요즘 많이 언급되는 **TMF(3배 레버리지 국채 ETF)**까지, 핵심만 쉽게 풀어보려고 한다.

💡 국채 가격이 오르는 원리 – 왜 금리랑 반대로 움직일까?
국채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쉽게 말해 "미국 정부가 돈을 빌리고 나중에 갚겠다는 증서"라고 보면 된다. 국채를 사면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받고, 만기가 되면 원금을 돌려받는다. 그런데 국채 가격은 금리와 정반대로 움직인다.
✔ 금리가 오르면 국채 가격은 하락
✔ 금리가 내리면 국채 가격은 상승
이게 왜 그러냐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금리를 주는 새로운 국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지금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3%라고 치자. 그런데 만약 금리가 4%로 올라간다면?
- 새로 발행된 국채는 4% 이자를 주는데,
- 기존 국채는 3%밖에 안 주니까 매력이 떨어진다.
- 그래서 기존 국채를 팔려는 사람이 많아지고, 가격이 내려간다.
반대로 금리가 2%로 떨어지면?
- 새로 발행된 국채는 2%밖에 못 주는데,
- 기존 국채는 3% 이자를 주니까 상대적으로 더 좋아 보인다.
- 그래서 기존 국채를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고, 가격이 올라간다.
즉, 금리가 떨어질 때 국채 가격이 오르고, 금리가 오를 때 국채 가격이 내려가는 것!
📌 미국 국채 ETF – 국채를 쉽게 투자하는 방법
"그럼 국채 가격이 오를 때 투자하면 되는 거 아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문제는 개별 국채를 사는 게 생각보다 까다롭다는 것.
그래서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들이 나와 있다.
ETF는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국채 시장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다.
🔹 대표적인 미국 국채 ETF
티커이름특징
TLT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 20년 이상 장기 국채, 금리 변동에 가장 민감 |
IEF |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 7~10년 만기 중기 국채, 변동성 중간 정도 |
SHY |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 1~3년 단기 국채, 변동성이 낮고 안전 |
TMF |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 TLT의 3배 레버리지 버전, 변동성이 매우 큼 |
ETF마다 만기가 다르고,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화에 더 크게 반응한다.
그렇다면 요즘 많이 언급되는 TMF는 뭐가 다를까?
🚀 TMF – 국채 가격이 크게 오를 때 베팅하는 3배짜리 ETF
TMF는 TLT(장기 국채 ETF)의 3배 레버리지 상품이다.
즉, TLT가 1% 오르면 TMF는 3% 오르고, 반대로 TLT가 1% 내리면 TMF는 3% 하락한다.
💡 그럼 TMF는 언제 유리할까?
✔ 금리가 떨어질 것 같을 때
✔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서 안전자산(국채)으로 돈이 몰릴 때
💡 TMF 투자 시 주의할 점
❌ 레버리지 상품이라 장기 보유에 적합하지 않음
❌ 금리가 오르면 손실이 3배로 커질 수 있음
❌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 투자에 적합
쉽게 말해, TMF는 국채 가격이 확 오를 거라고 믿을 때 단기 베팅하는 용도다.
장기 투자라면 일반적인 국채 ETF(TLT, IEF 등)가 더 적합하다.
📌 정리 – 미국 국채 ETF, 어떻게 투자할까?
미국 국채는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 금리가 오르면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 금리가 내리면 국채 가격이 상승한다.
국채 ETF는 만기에 따라 변동성이 다르고, 레버리지가 붙으면 리스크도 커진다.
✅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 IEF(중기), TLT(장기) 같은 일반 국채 ETF
✅ 단기 트레이딩을 원한다면? → TMF(3배 레버리지 ETF)
요즘 금리 변동성이 크다 보니 국채 ETF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TMF 같은 레버리지 상품은 변동성이 큰 만큼 신중한 전략이 필요하다.
"지금 금리가 어떻게 움직일까?"
"국채 시장은 어떤 흐름일까?"
이런 것들을 꾸준히 체크하면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국채 ETF를 선택해보자! 🚀
'주식 전문가 되기! > 주식 종목 분석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주에 10억?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 알아보기 (0) | 2025.02.26 |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한 걸까? (1) | 2025.02.26 |
해외주식 대표지수 알아보기 - 다우30,S&P500,나스닥 (0) | 2025.02.23 |
[종목 분석]SCHD ETF 완벽 분석 – 안정적인 배당과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0) | 2025.02.13 |
[종목분석] SOXL ETF 완벽 분석 –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 (0) | 2025.02.12 |